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건강 정보

냉방병 원인, 증상, 예방 <총정리>

by 김평안 2022. 7.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냉방병 원인', '냉방병 증상', '냉방병 예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방병-포스터
냉방병 원인 / 냉방병 증상 / 냉방병 예방


눈을-불고-있는-여자

냉방병 원인

기온과 습도

냉방병은 사실 원인이 뚜렷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통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원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는데요. 그 첫 번째로는 '기온 차이'입니다. 우리가 몸이 어느 정도 기온 차이가 있을 때 몸에 이상 반응이 생길까요? 그 차이는 '5도'입니다. 5도 이상 차이나는 환경이 있으면 우리 몸의 자율 신경계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우리 몸에는 항상 일정하게 내 생체 리듬을 유지하려는 '항상성'이라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항상성을 자율신경계가 유지하고 있는데 온도차가 심하면 이 자율신경계의 교란이 발생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자율신경계의 기능이 떨어지고 면역력도 떨어지고 그 외 여러 가지 다양한 증상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기온뿐만 아니라 '습도'도 영향을 끼칩니다. 실내에서 에어컨을 장기간 틀어놓으면 습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바깥에는 굉장히 습하죠. 이렇게 습했다 건조했다 하는 습도 차이로 인해서 항상성이 깨지게 됩니다. 항상성이 깨지면서 특히 건조할 때 호흡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습도가 왔다 갔다 해서 항상성이 깨지면서 건조한 환경이 됐을 때 호흡기 문제가 생기면서 냉방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레지오넬라증

두 번째 원인은 '레지오넬라증'입니다. 이 병은 물속에서 서식하는 '레지오넬라'라는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중 하나입니다. 에어컨과 같은 그런 냉방 장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살기 좋은 환경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에어컨을 제대로 세척하지 않고 냉각수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을 때 에어컨을 켠다면 '레지오넬라균'이 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공기 중으로 뿜어져 나온 레지오넬라균은 우리 입이나 코 같은 호흡기를 통해서 전염이 되는데 증상은 바로 나타나지 않고 잠복기를 2주 정도 거쳐서 나타나게 됩니다.

 

이 레지오넬라균 특징이 굉장히 전염성이 강합니다. 그래서 증상이 시작되면 그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다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다가 증상이 생기면 고열과 기침 시작되고 그러다가 가라앉으면 다행인데 심하게는 폐렴에서 사망까지 발생할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이 레지오넬라균은 초기 항생제 치료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서 적절히 항생제가 들어가지 못했을 때 레지오넬라증 폐렴형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의 사망률이 최대 80%에 달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정상 면역을 가진 성인에 있어서는 사망률이 0~10% 정도로 낮은 편이지만 면역력이 약한 어린 아이나 고령 같은 경우 굉장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 레지오넬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을 자주 청소하고 소독해줘야 합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

마지막으로 '밀폐 건물 증후군'이 있습니다. 요즘 사무실이나 실내 공간들을 보면 통유리로 유리창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경우에 문제점 뭐냐면 바로 환기입니다. 시원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닫힌 곳에서 계속적으로 에어컨만 틀다보니까 발생하는 것이 바로 밀폐 건물 증후군입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은 흔히 '빌딩 증후군'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여러 가지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담배 연기, 가구, 카펫, 페인트, 접착제, 복사기 같은 것들에서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화학 성분들 때문에 환기가 제대로 안 되고 실내에 계속적으로 그런 것들이 쌓이기 때문에 발생하게 됩니다. 호흡기 증상, 두통, 건조함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장기간 있다면 꼭 환기를 시켜주고 청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패딩입은-소녀

냉방병 증상

  •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
  • 목에 가래가 낀 듯 이물감이 들고 답답하다.
  • 잦은 두통, 어지러움증을 호소하고 피곤해진다.
  • 손발 부종, 어깨, 팔다리, 허리, 무릎 등이 아프다.
  • 소화가 잘 안 되고 복통, 설사 등 다양한 복부 증상이 나타난다.
  • 의욕과 집중력이 저하된다.
  • 여성의 경우 생리통이 심하거나 생리불순이 나타난다.
  • 환기를 시키거나 에어컨을 끄면 증상이 완화된다.
  • 냉방이 잘 되는 실내에 있으면 두통, 한기가 느껴진다.

 

 

빙하-사진

냉방병 예방 방법

  • 하루 3번, 30분씩 환기하기
  • 에어컨과 내부 필터를 자주 청소하기
  • 실내와 실외 온도 차는 최대 5~6도로 유지하기
  • 긴 옷이나 가디건, 담요 등을 챙기기
  • 따뜻한 차 등을 마셔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 비타민C 섭취하기
  • 과하지 않게 유산소 운동하기

지금까지 '냉방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