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건강 정보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 증상, 주의사항 <총정리>

by 김평안 2022. 7.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 증상,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 /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


과민성 대장증후군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정말 흔한 소화기 질환 중 하나인데요. 보통 청소년에서 젊은 성인.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흔한 질환입니다. 예전에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라는 명칭이 생기기 전에는 환자 본인은 엄청나게 괴로운데 별 이상 없다고 질환 취급을 못 받았던 질환이었습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대장의 기능성 질환입니다. 기능성 질환이란 무엇일까요? 위하고 대장 이런 장기들은 가만히 그냥 그 위치에 있는 장기가 아닙니다. 계속 연동 운동이라는 걸 해서 음식물을 밑으로 짜서 내려주는 역할을 하고 소화액을 분비하고 수분을 흡수하고 음식물을 분해해서 흡수하는 그런 살아있는 장기입니다. 그런데 대장의 내부에 암이라든가 용종 같은 해부학적 이상은 없지만, 살아 움직여서 활동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겁니다. 이게 기능성 질환이고 대장의 기능성 질환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과민성 대장증후군입니다. 즉 대장의 기능에 이상이 있는 질환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원인

위대장 반사 이상

첫 번째로는 위대장 반사의 이상 때문입니다. 위대장 반사는 정상인에서는 음식물이 들어와서 위로 내려가면 그와 함께 대장의 운동이 촉진되는 반응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연결 작용인데,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에서는 음식물이 위로 들어갔을 때 대장 중에서도 특히 항문의 바로 위에 있는 직장 그리고 S장이 있는데 이 직장, S장의 운동이 매우 증가하고 강한 압력의 수축 작용이 일어납니다. 그것도 식사가 들어가고 나서 바로 시작해서 3시간까지 강한 수축 작용이 일어납니다. 그러다 보니 음식이 들어가자마자 설사가 나오는 그런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내장 과민성

두 번째로는 내장 과민성 때문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는 내장이 과민합니다. 과민해서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 즉 역치가 상당히 낮습니다. 낮기 때문에 약간의 자극에도 심한 대장 근육들의 수축이 일어납니다. 그러다 보니 쥐어짜듯이 아프고 또 내장이 과민하다 보니까 약간만 통증이 가도 통증이 훨씬 크게 느껴지는 통각 과민성이 생깁니다. 복통의 주된 원인입니다.

 

중추 신경 조절 이상

세 번째는 중추신경조절 이상입니다. 예를 들어서 뇌 기능 장애, 정서장애, 스트레스 같은 중추 신경 문제가 발생을 했는데 이것이 조절되지 않고 많아서 대장에 연결된 신경까지 영향을 끼치고 대장의 신경이 조절이 안 되는 겁니다. 이렇게 대장 신경이 조절이 안되면 연결된 대장 근육 수축도 마음대로 일어나고 당연히 통증도 생기게 됩니다.

 

위장관 감염

네 번째로는 위장관 감염입니다. 심한 장염을 앓고 난 환자에서 3분의 2 이상이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생깁니다. 심한 질병을 앓고 난 다음에 생기는 후유증 같은 겁니다.

 

세로토닌 이상

다섯 번째로는 세로토닌 이상입니다. 세로토닌이라는 것은 뇌에서도 그리고 대장 신경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신경 전달 물질인데, 이 세로토닌이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서 세로토닌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거나 하는 상황이 생겨버립니다. 그래서 제대로 장 신경계가 조절되지 못하게 됩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

복통

첫 번째로 복통이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배변을 하거나 방귀를 뀌었을 때 즉 바깥으로 뭔가가 내뿜어졌을 때 그 복통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서적인 스트레스 예를 들어 누군가 나에게 뭐라고 했을 때 이런 스트레스 상황에서 악화되는 통증이 있습니다. 그리고 음식을 먹고 난 직후에 나타나는 통증이 있습니다. 또한 복통이 너무 심해서 잠자다가 깨는 경우도 있고, 여성은 생리 기간에 복통이 악화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배변습관의 변화

두 번째로 배변습관의 변화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어떨 때는 변비하다가 설사를, 어떨 때는 설사하다가 변비를. 이렇게 변비와 설사가 교대로 나타나는 믹스 타입이 가장 흔합니다. 하지만 설사가 위주인 경우도 있고, 변비가 위주인 경우도 있습니다. 공통점으로 배변 후의 묵직함, 남아있는 느낌, 배변이 덜 나온 느낌, 가스 차는 증상 이런 것들은 다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주 배변을 시도합니다.

 

복무 팽만감과 가스

세 번째로는 복부 팽만감과 가스입니다. 복부가 불쾌하고 가스가 차서 방귀가 많이 나오고, 트림이 나오고, 음식을 먹으면 복부 팽만감이 있어서 음식을 더 못 먹는 증상들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 50%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증상

네 번째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50%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증상입니다. 밑에 대장 증상만 있는 것이 아니고 상부 위장관 증상 즉 소화불량, 위산 역류, 구역, 구토 같은 상부위장관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50%나 됩니다.

 

주의사항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진단하기 앞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바로 '알람 사인'입니다. 이 알람 사인이 나타나면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아닌 다른 질환을 의심하고 별도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알람 사인

  • 체중 감소
  • 탈수
  • 영양 결핍
  • 지방변을 눌 때
  • 혈변을 눌 때
  • 복부에 뭐가 만져질 때
  • 증상이 50세 이상에서 처음 나타날 때
  • 증상이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경우
  • 48시간 금식을 했는데도 설사가 나올 때
  • 복통 때문에 밤에 잠을 깰 수는 있지만, 설사 때문에 밤에 화장실을 가게 되는 경우 (야간 설사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 X)
  • 대장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같은 장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이러한 알람 사인이 있는 경우에는 주치의랑 상의를 한 후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하고, 검사 후 특별한 다른 병이 없다는 것이 확실해지면 그땐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라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대장암 예방에 최고의 방법은? 대장내시경 검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에서 대장암 발병률 1,2위를 다투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장암을 예방하는 최고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장암 우리나라는 2018년 국가별 대장암 발생 순위에

qasw132.tistory.com

 

대장내시경 전 음식 주의사항, 먹어도 되는 음식 커피 과일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대장 내시경 검사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대장내시경 전 음식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일부는 소화 흡수가 되고

qasw13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