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수미가 지난 25일 타계하였다. 사인은 고혈당 쇼크로 사망 당시 김수미의 당뇨 수치는 500mg/dL 이상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고혈당 쇼크란 고혈당 상태가 심해져 나타나는 증상으로 고혈당 쇼크 원인으로는 당뇨병 관리에 소홀하거나 극심한 스트레스가 있다. 고혈당 수치가 높아지게 되면 사망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조기에 고혈당 쇼크 증상을 인지하고 적절한 고혈당 쇼크 대처법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당 쇼크란?
고혈당 쇼크는 체내 혈당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신체에 심각한 반응을 초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되고,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의식을 잃거나 혼수상태가 발생될 수 있고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고혈당 상태는 혈당 수치가 180mg/dL 이상으로 증가할 때 고혈당으로 간주하고, 600mg/mL 이상일 경우 매우 위험한 상태로 쇼크가 발생하거나 사망할 수 있다.
고혈당 쇼크 증상
극심한 갈증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극심한 갈증을 느낄 수 있다.
빈뇨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 신장이 당을 배출하기 위해 자주 소변을 보게 될 수 있다.
피로감
힘이 부족해지고,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구역질 및 구토
소화 장애나 위장 장애로 인해 구역질이나 구토가 발생할 수 있다.
어지러움
고혈당 상태가 뇌에 영향을 끼쳐 어지러움을 초래할 수 있다.
극심한 두통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으로 극심한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호흡곤란
과호흡이나 호흡이 곤란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고혈당 쇼크 원인
당뇨병 관리 소홀
당뇨병인데 인슐린 또는 혈당 조절 약물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복용을 잊는 경우, 혈당 수치가 비정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잘못된 식습관
과식을 하거나 고탄수화물 식단을 할 경우 혈당이 급격히 오르게 된다. 특히나 단순당이 많은 음식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위험도가 증가한다.
신체적 스트레스
감염, 외상, 수술 등 신체적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혈당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유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되어 간에서 포도당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정신적 스트레스
심리적으로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 혈당 수치가 상승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혈당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운동부족
신체 활동이 적은 경우, 인슐린이 효과가 저하되고 혈당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고혈당 쇼크 대처법
혈당측정
첫 번째로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혈당 수치를 확인한다.
수분섭취
고혈당 쇼크 상태에서는 체내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을 충분히 마셔서 수분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꺼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조금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식사조절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규칙적인 식사가 필요하다. 특히 탄수화물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인슐린 투여
혈당 수치가 비정상으로 높다면, 의사에게 처방받은 인슐린을 즉시 투여한다.
119 신고
증상이 매우 심각하거나 혈당 수치가 지속적으로 높다면 혼수상태나 의식소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119에 신고해서 도움을 요청한다.
고혈당 쇼크는 심각한 건강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질병에 해당되는 사람이라면 평소에 고혈당 쇼크 증상과 고혈당 쇼크 원인, 고혈당 쇼크 대처법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고혈당 쇼크 증상을 인지하고 있는 게 가장 중요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서 위기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혈당관리를 하면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유용한 정보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고비 가격, 부작용, 처방 (0) | 2024.11.12 |
---|---|
박용우 스위치온 다이어트 식단표, 부작용, 쉐이크, 커피 (0) | 2024.10.07 |
오분도미 효능 7가지 알아보자 (0) | 2024.10.05 |
아데노바이러스 눈꼽 치료 성인 증상 전염 검사 (0) | 2023.04.10 |
이석증 증상, 원인, 치료법, 자가치료 (0) | 2023.04.06 |
방풍통성산 효능 및 부작용 알아보기 (0) | 2023.04.03 |
MCT 오일 효능, 부작용, 먹는 법 <총정리> (0) | 2023.03.29 |
퀴노아 효능 및 부작용 알아보기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