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A형 독감 증상, 격리, 전염, 잠복기> 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A형 독감
독감의 정식 명칭은 '인플루엔자(influenza)'라고 부르는데요.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독감은 감기와는 전혀 다른 질환인데 기침, 콧물, 인후통 등의 증상은 물론 근육통, 발열, 두통 등의 전신적인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독감은 보통 가을부터 봄까지 춥고 건조한 날씨일 때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A형 독감 증상
A형 독감은 일반적인 감기보다 증상이 심한데요. 앞서 말했듯이 A형 독감은 기침, 콧물, 인후통을 동반한 근육통, 발열, 두통 등의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식욕도 없고 기운도 없습니다. 이러한 증상들 때문에 A형 독감에 걸리게 되면 일상생활이 힘들어질 정도로 몸이 피로하고 많이 아픕니다.
A형 독감 진단 및 검사
A형 독감은 현재 유행하는 독감의 상황에 따라서 기침, 콧물, 인후통, 근육통,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이 있다면 임상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속항원검사', '바이러스 배양 검사', '유전자 증폭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A형 독감 치료
A형 독감 치료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전제로 하면서 두통, 근육통, 발열 등을 해결하기 위해 '해열진통제'를 투여하며, 2차 감염이 의심된다면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합니다. 정리하자면 A형 독감 치료로는 '해열진통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가 사용이 됩니다.
A형 독감 전염, 격리, 잠복기
A형 독감은 전염력도 강한데요. A형 독감의 잠복기는 보통 '1~4일' 정도이며, A형 독감에 걸리고 '7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호전이 되고 전염력도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A형 독감에 걸리고 나서는 '7일' 정도는 격리가 필요합니다.
A형 독감 예방
A형 독감 예방이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매년 독감이 유행하기 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는 것입니다. 특히 노인, 임산부, 어린이, 만성 질환자는 꼭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소에는 비누로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을 할 때는 입을 가리고 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지금까지 <A형 독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망증세 섬망 증세 증상 치매 차이 <총정리> (0) | 2022.12.23 |
---|---|
위내시경 금식시간 물, 전날 음식, 비수면, 비용 (0) | 2022.12.17 |
편도결석 빼는 법 가글 원인 제거 (0) | 2022.12.13 |
타미플루 부작용 복용법 술 (0) | 2022.12.12 |
심근경색 전조증상, 자가진단, 원인, 치료, 예방 <총정리> (0) | 2022.12.08 |
양배추, 카베진 효능과 부작용 알아보기 (0) | 2022.11.23 |
이태원 압사 사고, 압사 당하면 왜 죽는걸까? 그 원인은? (0) | 2022.10.31 |
의사가 말하는 당뇨병 합병증, 합병증 예방, 저혈당, 혈당관리 (0) | 2022.10.24 |
댓글